심천(心天) 송승연 석채화 작가, 고난에서 환희로... 석채화의 감동, 모두에게 전달해 주고 파 :: 포스트21 뉴스

심천(心天) 송승연 석채화 작가 작품 

‘영원의 예술’ 석채화로 그려내는 예술가의 특별한 인생
 
[포스트21 뉴스=편집부] 개인의 개성을 뚜렷하게 표현할 수 있는 컨텐츠가 각광받는 요즘,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들이 알려져 대중들의 눈을 즐겁게 하고 있는 가운데, ‘석채화’라는 특별한 화폭으로 대중들의 큰 사랑을 받고 있는 작가가 있다. 자신의 인생을 예술로 승화시킨 석채화 작가, 심천(心天) 송승연이다.

입체적인 색체와 뛰어난 보존성이 강점인 화법

우리나라에서 비교적 생소한 ‘석채화’라는 화법은 400년 전 인도에서 시작하여 중국을 건너 와 전해진 화법이다. 다양한 색상의 돌을 연마해서 가루를 만든 후, 만들어진 돌가루를 이용해 그림의 원료로 쓰는 방식의 그림예술이다. 

‘돌가루를 원료로 사용하면, 흔히 사람들이 알고 있는 돌들의 색깔 밖에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투박하고 거친 느낌의 그림이 나오지 않을까?’라는 우려와 달리, 다른 화법들과 비교해서 강렬하면서도 화려한 색채를 가지는 것은 물론, 입체적인 질감까지 표현할 수 있는 화법이다. 

중국에서는 이런 특징을 가지는 석채화를 ‘보석으로 그린 그림’이라는 뜻의 ‘보석화’라고 부르기도 하고, 보존성이 뛰어나 만년동안 색채가 변하지 않는다고 하여 ‘만년화’라고 불렀다. 우리가 아는 모든 명화들은 오랜 시간이 지난 탓에, 관리 주체의 각별한 관리를 받으며 작품 생명을 연장하고 있다. 

 

심천(心天) 송승연 석채화 작가

하지만, ‘만년화’라는 이름 그대로 석채화는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색과 빛깔이 진해져서 ‘나이드는 것이 아닌 익어가는 것’이라는 유명한 노래가사를 떠올리게 한다. “영원히 변하지 않는 작품이다 보니, 그에 따라 작품의 난이도가 높은 편입니다. 다른 화법들과 다르게 덧칠이 아예 불가능하고 수정도 무척 어렵습니다. 일필휘지(一筆揮之)에 가깝게 한번에 그려나가야 하기에 고도의 집중력을 필요로 합니다.” 

그리는 과정에서도 난이도가 높지만, 석채화가 ‘고난의 예술’로 평가 받는 것은 이미 기성품 원료로 그림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직접 원료를 채취하고 만들어야 한다는 점에 있다. 이런 인내와 고통을 요하는 과정들을 겪고 탄생한 석채화는 작가의 열과 성을 공유하듯, ‘영원의 예술’로 만들어 지는 것이다. 

심금을 울렸던 스승의 작품을 만나, 새로운 인생 찾다

고도의 전문 기술 뿐만 아니라, 원료를 찾아 발로 뛰어다니는 부지런함까지 겸비해야 하는 화법인지라, 전 세계를 기준으로도 석채화 전문 화가는 그 수가 많지 않다. 심천(心天) 송승연 작가의 스승인 김기철 화백은 대가의 칭호를 받은 석채화 전문 화가 중 유일무이한 한국인이다. 

국내 뿐만 아니라 시드니, 하와이, 태국 파타야 호텔, 필리핀 국립 미술관 등 세계 곳곳에서 초청을 받는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김기철 화백의 가르침을 받아, 그 재능을 피워내는 수제자가 바로 송승연 작가다. 

어렸을 때 큰 병으로 고생하며, 젊은 시절을 날려 보내면서 간신히 병마를 이겨냈지만, 아버님과 큰 형님의 연이은 부고로 마음 속에 커다란 구멍이 뚫려 허전한 마음을 달랠 길이 없었다고 한다.

 

심천(心天) 송승연 석채화 작가 작품 

어렸을 때부터 좋아하던 그림과 예술로 슬픔을 위로하던 중, 전라북도 무주에서 본 김기철 화백의 그림은 그의 인생을 바꿔놓았다. 

“순간 마음 속 한줄기에서 빛이 나와 제 몸 전체를 감싸는 듯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언제나 비어있던 마음이 기쁨과 감동으로 충만해지는 경험을 태어나서 처음 해봤습니다.” 

무작정 김기철 화백을 찾아가 제자로 받아주길 간청했고, 김기철 화백 역시 ‘사연 있는 작가가 걸작을 만든다’며 가르침을 주었다.

인생이 담겨있는 화법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 주고파

심천(心天), 마음의 하늘이라는 뜻은 보는 이들의 심금을 울리게 하고 싶은 작품을 만들겠다는 의지를 담아 만든 호다. 이렇게 굳은 의지로 시작한 석채화였지만, 그 과정이 순탄치는 않았다고 한다. 

한 번의 실수가 모든 것을 망치는 화법의 특성상 처음 두 달 동안은 매일 5시간이 넘게 선만 그리는 지루한 과정을 반복했다고. “힘들었지만, 단 한번도 그만두겠다는 생각을 하지는 않았습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 작품의 완성했을 때의 기쁨이 더욱 커지는 것을 스승님께서 알려주신 것이죠.” 

40대 후반의 늦은 나이로 석채화를 시작했지만, 특유의 열정과 노력으로 매진한 지 10년 만에 서울평화국제미술제, 한국현대문화미술에서 최우수상 수상, 대한민국창작비엔날레에서 금상을 수상하는 등 국내에서의 수상은 물론, 가와사키 국제 아시아미술전에서도 호평 받으면서 그 맹위를 떨치고 있다. 

앞으로 우리 민족의 상징물과 같은 호랑이, 용, 독수리 등의 동물들을 비롯한 민화를 그릴 예정이며, 태극기를 소재로 한 석채화도 아름답게 그려보고 싶다는 송승연 작가다. 

그는 작가로서의 유명세보다는 자신이 처음 스승의 작품을 보고 느꼈던 감동을 받았던 것처럼, 누군가에게 자신의 작품으로 감동과 위안을 주고 싶은 꿈을 이루기 위해 더욱 정진하겠다는 포부를 전했다. 

슬픔과 고통 뿐인 삶을 예술로 승화한 송승연 작가와 인내와 고통 속에서 피어나는 꽃과 같은 석채화의 만남은, 과정의 고통에서 걸작이 나온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사람들의 고통과 절망을 감동으로 승화 시켜주는 것이 예술가의 역할이라며 묵묵하게 앞으로 나아가는 그의 행보가 기대되는 이유일 것이다. POST21

+ Recent posts